메뉴 건너뛰기

통합검색 입력 폼
잡코리아 주요 서비스
끝이 다른 시작 JOBKOREA 알바의 상식 albamon


게임뉴스 상세

中 4년 만에 판호 발급, 향후 전망은

작성자
관련사이트 더게임스
작성일
2020-12-03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중국이 약 4년 만에 한국 게임에 대한 서비스 허가권 ‘판호’를 내주면서 이목이 쏠리고 있다. 수출길이 열릴 것이란 기대감이 고"되는 한편, 이를 계기로 불공정한 경쟁 상황을 국제적으로 문제 삼아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컴투스의 모바일게임 ‘서머너즈 워: 천공의 아레나’가 중국에서의 서비스를 허가하는 판호를 발급받았다. 이는 2017년 사드 사태 이후 걸어 잠근 한국산 게임에 대한 빗장을 4년 만에 열어준 것이다.

때문에 그간 막혀있던 중국 시장 진출길이 열리는 게 아니냐는 기대감도 고"되고 있다. 반면 아직 안심할 수 없는 단계인 만큼, 이번 판호 발급이 예외적인 것으로 남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이번 판호 발급의 배경을 두고 다양한 관측이 쏟아지는 중이다. 지난달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한국을 방문한 것도 이번 판호 발급과 무관하지 않다는 시각도 적지 않은 편이다.

한한령에 따른 중국과의 단절이 중요한 사안으로 논의가 됐으며, 게임 판호 발급을 통해 긍정적인 신호로 이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선 미국의 정권 교체 시기와 맞물려 판호 발급이 중국의 외교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재편 시기를 맞은 한미의 관계를 의식하고 중국 쪽에서 한국을 당기기 위한 신호 중 하나라는 평이다.

이번 ‘서머너즈 워’의 판호 발급은 당장은 게임업계의 호재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중국은 게임업체들의 수출 비중이 큰 시장으로, 성공 가능성도 높게 평가돼 왔기 때문에서다.

이미 중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한국 업체들도 적지 않은 편이다. 이들의 사업 전개 측면에서도 득을 볼 일이 많다는 것이다.

‘미르의 전설’ 판권(IP)을 보유한 위메이드, ‘크로스파이어’의 스마일게이트 등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고 있다. 이 같은 분위기가 계속된다면 차기작이나 후속작을 출시하는 과정이 더욱 순탄해지지 않겠냐는 관측이다.

또 당장 대형 업체의 대작이 출시되긴 어렵더라도, 중소업체들의 새로운 가능성이 열리는 신호로도 기대해 볼만하다는 평이다.

‘서머너즈 워’ 이후 어떤 작품이 언제 판호를 발급받을지 역시 관심이 쏠릴 전망이다. 판호 발급을 기다리는 사례로는 넷마블의 ‘리니지2 레볼루션’과 ‘블레이드&소울 레볼루션’을 비', 펄어비스의 ‘검은사막 모바일’, 엠게임의 ‘진열혈강호’ 등이 거론되고 있다.

또 한편으론 앞서 판호를 발급 받은 넥슨의 ‘던전앤파이터 모바일’가 출시 직전 일정이 연기되는 사례도 있다는 점에서 업계는 중국에 대해 안심할 수 없다는 평도 나온다.

일각에선 그간 중국 당국의 판호 발급 자체가 지연되며 처리 사안이 누적돼 왔다는 점에서 당장 시장의 기대에 비례하는 성과를 내기는 어려울 것이란 평을 내놓고 있다. 또 판호 발급 총량 자체를 줄여가고 있다는 것도 우려의 요소로 꼽고 있다.

판호 발급은 2017년 9368건에서 2018년 2064건, 지난해 1570건, 올해 상반기 609건으로 감소 추이를 보여왔다는 것. 또 외자 게임 판호 건수는 2017년 467건에서 2018년 55건, 2019년 185건, 올해 상반기 27건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서머너즈 워

‘서머너즈 워’의 경우 2016년 판호 발급을 신청했고 4년여 만에 허가를 받은 사례다. 한한령 이전 이미 수많은 업체들이 판호를 신청한 것을 비춰보면, 실질적으로 시장 진출의 기회를 얻는 것은 극히 제한적이 될 수도 있다는 평이다.

이 같이 제한적으로 판호가 발급돼 시장에 뒤늦게 진입한다는 것도 업계는 아쉬움을 나타내고 있다. 수년 전 출시된 작품으로 중국 시장을 공략하는 상황으로, 한국 업체들의 경쟁력이 뒤떨어져 성공 가능성이 낮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때문에 이번 판호 발급이 오히려 중국의 생색내기가 되지 않도록 강력하게 밀고 나가야 한다는 주장도 잇따르고 있다. 한한령을 해제했다는 명분은 챙기면서 드문드문 허가를 내주는 상황이 올지도 모른다는 관측이다.

그간 문제로 지적된 한국 게임에 대한 판호 발급 배제는 해소되지만,실질적으로 한국 게임업체들의 사정은 바뀌지 않는다는 것이다. 판호가 언제 발급될지 기약 없이 기다리는 상황이 계속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중국 업체들은 제약 없이 한국 시장에 밀고 들어오는 반면, 판호 발급 문제로 제대로 진출하지 못하는 불공정 경쟁 상황을 국제기구를 통해 문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더게임스데일리 이주환 기자 ejohn@tgdaily.co.kr]



배너



퀵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