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 기업 거르는 법
- 작성자
- 123123
- 작성일
- 2020-12-08
- 조회수
- 20761
- 좋아요 수
- 123
1X년차 경력자 입니다.
저보다 식견이 넓으신 선후배님들 많이 계신데 오지랍이 넓어서 몇자 적어 봅니다.
진짜 좋은 회사, 적당히 좋은 회사 .. 이런건 알아서 잘 골라 가십시오
정보도 많을거고 그 정도 안에서 골라가는건 그냥 대충 자기 팔자려니 싶기도 합니다.
다만 당장 이번달 월급이 나올지도 안나올지도 모르는
당장 지금 급여가 체납되어 직원들이 퇴사하고 고발하고 있는 상황임에도
채용절차를 진행중인 진짜 범죄자 집단 ! 블랙 기업들이 있습니다.
이런 곳 거르는 법 알려드립니다.
(물론 100% 정답은 아니고 어느정도 유추하는 방법 입니다.)
1. 출시작이 있는가. 현재 서비스 중인가.
→ 출시작이 있고, 서비스 중이면 일단 블랙기업은 아닐 가능성 높음
→ 거기다 더불어서 매출 순위까지 높으면 왠만해선 우량기업임 (우량 기준이 3N이 아님)
→ 매출순위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
https://play.google.com/store/apps/collection/cluster?clp=0g4YChYKEHRvcGdyb3NzaW5nX0dBTUUQBxgD:S:ANO1ljLhYwQ&gsr=ChvSDhgKFgoQdG9wZ3Jvc3NpbmdfR0FNRRAHGAM%3D:S:ANO1ljIKta8
2. 잡플래닛에서 검색해본다. https://www.jobplanet.co.kr/ → 해당 기업의 리뷰가 없다. (의심 +1)
→ 해당 기업의 리뷰 점수가 2.5 미만이다. (의심 +1)
→ 해당 기업의 리뷰가 4.5 이상이다. (의심 +1)
리뷰 점수가 낮으면 당연히 안 좋은거겠지만
너무 높은 경우 조작의 의심이 있다.
없는 경우에도 조작이거나 혹은 너무 작은 기업이라 없는 경우도 있음
3. 연봉 정보를 검색해본다.
→ https://kreditjob.com/ → https://www.opensalary.com/
보통은 크레딧잡에서 검색하면 다 나오는데
가끔 안나오는 곳은 오픈샐러리 가면 나온다고 보면 된다
여기 정보를 순진하게 다 믿으면 안된다
직원 수의 경우 비정규직은 안 잡혀 있기도 하고
연봉 같은 경우 금감원 / 국민연금 / 고용보험에서
각각 추산되는 금액이 다 다르다.
가끔은 회사에서 직접 입력 해 놓은 경우도 있다.
하지만 어떻게 제공받은 정보인지에 대해 다 표시되고 있으므로
대충 보지말고 정확히 확인하자
블랙기업의 경우 크레딧잡에서 보면 각종 정보들을 [Block] 처리 해놓은 경우가 많다.
구린게 있으니까 회사에서 정보를 감춰달라고 신청한 거 99%
→ 일단 블럭 처리가 되었는지 확인하고 (의심 +1)
→ 퇴사자 수가 전체 인원 대비 많으면(50% 이상) (의심 +1)
→ 평균연봉이 너무 낮아도(2천이하도 있음), 전체인원이 너무 적어도 조심하자 (의심 +0.5)
→ 우측에 [JOB담] 이라는 코너에 악평이 많아도 조심하자 (의심 +0.3)
전체 직원 수가 30명인데
작년 한해동안 퇴사가 수가 20명이다 ?
회사가 얼마나 X 같으면 한두명도 아니고 우루루 퇴사 했겠냐
한두명 나가는거야 그놈이 적응 못했을 수도 있지만
우루루 나갔다는건 회사가 X신이거나 미X놈이 있다는거임
다음은 업력을 체크해보자
예를 들어 게임잡에서 업체정보를 봤을때는 생긴지 7-8년 됐는데
사업자 등록은 안되어 있거나 1-2년 밖에 안되었다 ?
이 경우 모종의 이유로 사업자 등록을 늦게 했거나
혹은 폐업했다가 이름만 살짝 바꾸어 새로 등록한 경우일 가능성이 있다
내가 본 업체 중 한 곳은 ㅇㅇ게임즈라고 게임잡에 등록이 되어 있는데
사업자등록번호 조회를 해보면 그런 이름의 업체는 없다고 나온다
그리고 ㅇㅇ컴퍼니 라는 회사로 동명의 대표자가 등록한 회사가 나오고
(사업자등록번호 조회를 하면 이름 외에도 이메일주소, 전화번호, 사무실 주소 등이 나오기 때문에 동일인 인지 판별 가능하다)
게임잡에서는 2015년에 설립했다고 나오지만
사업자등록을 한건 2020년이라고 나온다
여러가지 사정이 있을 수 있겠지만 충분히 의심해볼만한 여지가 있는 내용이다
→ 사업자등록번호가 검색이 되지 않는다. (의심 +0.5)
→ 설립년도와 사업자등록년도의 차이가 꽤 많이 난다. (의심 +1)
→ 설립한지 꽤 오래 되었는데(3년 이상) 출시작도 없고 관련 기사도 없다. (의심 +1)
→ 실제 대표자명과 사업자등록 상의 대표자명이 다르다. (의심 +0.5)
대표자명의 경우에는 실제와 사업자등록된 대표자명과 다른 경우
바지사장의 경우를 의심해볼 수 있다.
특히 이전 회사에서 급여체납을 하고 회사 폐업하고 고발당하고 해서
자신의 명의로는 새로운 사업을 하기에 무리가 있어서 바지사장을 내세운 경우라면
좋지 못한 미래를 맞이할 수 있다.
사업자등록번호 조회는 아래 주소에서 할 수 있다.
https://www.ftc.go.kr/www/bizCommList.do?key=232 (통신판매사업자 조회 - 회사명이나 대표자명으로 검색가능. 대표자명은 게임잡에서 확인)
그 외에도 아래 사이트 들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https://bizno.net/ http://dart.fss.or.kr/
그리고 블라인드에 가서 물어보기도 하고 검색도 해보면 좋겠지만
실제 현업인이 아니고 블라인드에서 여러 정보를 확인해보는게 쉬운일은 아니다
그 외에도 몇몇 소소한거 더 체크를 해보자면
→ 회사 연락처(번호)가 개인 핸드폰 번호이다. (의심 +0.3)
→ 회사 이메일주소가 회사 도메인이 아니고 개인 메일주소이다. (의심 +0.3)
(특히 네이버, 다음, 한메일, 네이트 메일 등등)
→ 회사 홈페이지가 없다. (의심 +0.3)
→ 해당 회사명으로 구글에서 검색되는 (회사 정보가 아닌)기사가 없다. (의심 +0.3)
********************************************************************************************
급히 쓰느라 좀 다듬지도 못하고
너무 막 쓴거 같아서 아래에 정리해봅니다.
1. 출시작이 있는가. 현재 서비스 중인가.
→ 출시작이 있고, 서비스 중이면 일단 블랙기업은 아닐 가능성 높음
→ 거기다 더불어서 매출 순위까지 높으면 왠만해선 우량기업임 (우량 기준이 3N이 아님)
→ 매출순위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
https://play.google.com/store/apps/collection/cluster?clp=0g4YChYKEHRvcGdyb3NzaW5nX0dBTUUQBxgD:S:ANO1ljLhYwQ&gsr=ChvSDhgKFgoQdG9wZ3Jvc3NpbmdfR0FNRRAHGAM%3D:S:ANO1ljIKta8
2. 잡플래닛에서 검색해본다. https://www.jobplanet.co.kr/ → 해당 기업의 리뷰가 없다. (의심 +1)
→ 해당 기업의 리뷰 점수가 2.5 미만이다. (의심 +1)
→ 해당 기업의 리뷰가 4.5 이상이다. (의심 +1)
3. 연봉 정보를 검색해본다.
→ https://kreditjob.com/ → https://www.opensalary.com/ → 일단 블럭 처리가 되었는지 확인하고 (의심 +1)
→ 퇴사자 수가 전체 인원 대비 많으면50% 이상 (의심 +1)
→ 평균연봉이 너무 낮아도(2천이하도 있음), 전체인원이 너무 적어도 조심하자 (의심 +0.5)
→ 우측에 [JOB담] 이라는 코너에 악평이 많아도 조심하자 (의심 +0.3)
4. 사업자 등록번호를 검색해본다
→ https://www.ftc.go.kr/www/bizCommList.do?key=232 → https://bizno.net/ → http://dart.fss.or.kr/ → 사업자등록번호가 검색이 되지 않는다. (의심 +0.5)
→ 설립년도와 사업자등록년도의 차이가 꽤 많이 난다. (의심 +1)
→ 설립한지 꽤 오래 되었는데(3년 이상) 출시작도 없고 관련 기사도 없다. (의심 +1)
→ 실제 대표자명과 사업자등록 상의 대표자명이 다르다. (의심 +0.5)
5. 게임잡에서 회사 정보를 확인해본다.
→ 회사 연락처(번호)가 개인 핸드폰 번호이다. (의심 +0.3)
→ 회사 이메일주소가 회사 도메인이 아니고 개인 메일주소이다. (의심 +0.3)
(특히 네이버, 다음, 한메일, 네이트 메일 등등)
→ 회사 홈페이지가 없다. (의심 +0.3)
→ 해당 회사명으로 구글에서 검색되는 (회사 정보가 아닌)기사가 없다. (의심 +0.3)
총 10.0점 만점이니까
위 내용 확인해보고 6점 이상이면 신중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물론 정답도 아니고 나보다 노하우도 더 많은 많은 분들이 계시겠지만
일단 내가 지금 볼 일이 있어서 나가봐야 하니 빠르게 마무리 해봅니다.
혹 문제될만한 내용 있어서 지적해주시면
다녀와서 수정해놓겠습니다.
그럼 후배님들 특히 신입분들 초우량 기업은 못가더라도
입사한 첫달부터 월급 못받고 하는 일은 안생기길 바라며
이만 줄입니다.
수고하십셔 ~
=====================
p.s 수정의견 반영하였습니다.
저보다 식견이 넓으신 선후배님들 많이 계신데 오지랍이 넓어서 몇자 적어 봅니다.
진짜 좋은 회사, 적당히 좋은 회사 .. 이런건 알아서 잘 골라 가십시오
정보도 많을거고 그 정도 안에서 골라가는건 그냥 대충 자기 팔자려니 싶기도 합니다.
다만 당장 이번달 월급이 나올지도 안나올지도 모르는
당장 지금 급여가 체납되어 직원들이 퇴사하고 고발하고 있는 상황임에도
채용절차를 진행중인 진짜 범죄자 집단 ! 블랙 기업들이 있습니다.
이런 곳 거르는 법 알려드립니다.
(물론 100% 정답은 아니고 어느정도 유추하는 방법 입니다.)
1. 출시작이 있는가. 현재 서비스 중인가.
→ 출시작이 있고, 서비스 중이면 일단 블랙기업은 아닐 가능성 높음
→ 거기다 더불어서 매출 순위까지 높으면 왠만해선 우량기업임 (우량 기준이 3N이 아님)
→ 매출순위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
https://play.google.com/store/apps/collection/cluster?clp=0g4YChYKEHRvcGdyb3NzaW5nX0dBTUUQBxgD:S:ANO1ljLhYwQ&gsr=ChvSDhgKFgoQdG9wZ3Jvc3NpbmdfR0FNRRAHGAM%3D:S:ANO1ljIKta8
2. 잡플래닛에서 검색해본다. https://www.jobplanet.co.kr/ → 해당 기업의 리뷰가 없다. (의심 +1)
→ 해당 기업의 리뷰 점수가 2.5 미만이다. (의심 +1)
→ 해당 기업의 리뷰가 4.5 이상이다. (의심 +1)
리뷰 점수가 낮으면 당연히 안 좋은거겠지만
너무 높은 경우 조작의 의심이 있다.
없는 경우에도 조작이거나 혹은 너무 작은 기업이라 없는 경우도 있음
3. 연봉 정보를 검색해본다.
→ https://kreditjob.com/ → https://www.opensalary.com/
보통은 크레딧잡에서 검색하면 다 나오는데
가끔 안나오는 곳은 오픈샐러리 가면 나온다고 보면 된다
여기 정보를 순진하게 다 믿으면 안된다
직원 수의 경우 비정규직은 안 잡혀 있기도 하고
연봉 같은 경우 금감원 / 국민연금 / 고용보험에서
각각 추산되는 금액이 다 다르다.
가끔은 회사에서 직접 입력 해 놓은 경우도 있다.
하지만 어떻게 제공받은 정보인지에 대해 다 표시되고 있으므로
대충 보지말고 정확히 확인하자
블랙기업의 경우 크레딧잡에서 보면 각종 정보들을 [Block] 처리 해놓은 경우가 많다.
구린게 있으니까 회사에서 정보를 감춰달라고 신청한 거 99%
→ 일단 블럭 처리가 되었는지 확인하고 (의심 +1)
→ 퇴사자 수가 전체 인원 대비 많으면(50% 이상) (의심 +1)
→ 평균연봉이 너무 낮아도(2천이하도 있음), 전체인원이 너무 적어도 조심하자 (의심 +0.5)
→ 우측에 [JOB담] 이라는 코너에 악평이 많아도 조심하자 (의심 +0.3)
전체 직원 수가 30명인데
작년 한해동안 퇴사가 수가 20명이다 ?
회사가 얼마나 X 같으면 한두명도 아니고 우루루 퇴사 했겠냐
한두명 나가는거야 그놈이 적응 못했을 수도 있지만
우루루 나갔다는건 회사가 X신이거나 미X놈이 있다는거임
다음은 업력을 체크해보자
예를 들어 게임잡에서 업체정보를 봤을때는 생긴지 7-8년 됐는데
사업자 등록은 안되어 있거나 1-2년 밖에 안되었다 ?
이 경우 모종의 이유로 사업자 등록을 늦게 했거나
혹은 폐업했다가 이름만 살짝 바꾸어 새로 등록한 경우일 가능성이 있다
내가 본 업체 중 한 곳은 ㅇㅇ게임즈라고 게임잡에 등록이 되어 있는데
사업자등록번호 조회를 해보면 그런 이름의 업체는 없다고 나온다
그리고 ㅇㅇ컴퍼니 라는 회사로 동명의 대표자가 등록한 회사가 나오고
(사업자등록번호 조회를 하면 이름 외에도 이메일주소, 전화번호, 사무실 주소 등이 나오기 때문에 동일인 인지 판별 가능하다)
게임잡에서는 2015년에 설립했다고 나오지만
사업자등록을 한건 2020년이라고 나온다
여러가지 사정이 있을 수 있겠지만 충분히 의심해볼만한 여지가 있는 내용이다
→ 사업자등록번호가 검색이 되지 않는다. (의심 +0.5)
→ 설립년도와 사업자등록년도의 차이가 꽤 많이 난다. (의심 +1)
→ 설립한지 꽤 오래 되었는데(3년 이상) 출시작도 없고 관련 기사도 없다. (의심 +1)
→ 실제 대표자명과 사업자등록 상의 대표자명이 다르다. (의심 +0.5)
대표자명의 경우에는 실제와 사업자등록된 대표자명과 다른 경우
바지사장의 경우를 의심해볼 수 있다.
특히 이전 회사에서 급여체납을 하고 회사 폐업하고 고발당하고 해서
자신의 명의로는 새로운 사업을 하기에 무리가 있어서 바지사장을 내세운 경우라면
좋지 못한 미래를 맞이할 수 있다.
사업자등록번호 조회는 아래 주소에서 할 수 있다.
https://www.ftc.go.kr/www/bizCommList.do?key=232 (통신판매사업자 조회 - 회사명이나 대표자명으로 검색가능. 대표자명은 게임잡에서 확인)
그 외에도 아래 사이트 들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https://bizno.net/ http://dart.fss.or.kr/
그리고 블라인드에 가서 물어보기도 하고 검색도 해보면 좋겠지만
실제 현업인이 아니고 블라인드에서 여러 정보를 확인해보는게 쉬운일은 아니다
그 외에도 몇몇 소소한거 더 체크를 해보자면
→ 회사 연락처(번호)가 개인 핸드폰 번호이다. (의심 +0.3)
→ 회사 이메일주소가 회사 도메인이 아니고 개인 메일주소이다. (의심 +0.3)
(특히 네이버, 다음, 한메일, 네이트 메일 등등)
→ 회사 홈페이지가 없다. (의심 +0.3)
→ 해당 회사명으로 구글에서 검색되는 (회사 정보가 아닌)기사가 없다. (의심 +0.3)
********************************************************************************************
급히 쓰느라 좀 다듬지도 못하고
너무 막 쓴거 같아서 아래에 정리해봅니다.
1. 출시작이 있는가. 현재 서비스 중인가.
→ 출시작이 있고, 서비스 중이면 일단 블랙기업은 아닐 가능성 높음
→ 거기다 더불어서 매출 순위까지 높으면 왠만해선 우량기업임 (우량 기준이 3N이 아님)
→ 매출순위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
https://play.google.com/store/apps/collection/cluster?clp=0g4YChYKEHRvcGdyb3NzaW5nX0dBTUUQBxgD:S:ANO1ljLhYwQ&gsr=ChvSDhgKFgoQdG9wZ3Jvc3NpbmdfR0FNRRAHGAM%3D:S:ANO1ljIKta8
2. 잡플래닛에서 검색해본다. https://www.jobplanet.co.kr/ → 해당 기업의 리뷰가 없다. (의심 +1)
→ 해당 기업의 리뷰 점수가 2.5 미만이다. (의심 +1)
→ 해당 기업의 리뷰가 4.5 이상이다. (의심 +1)
3. 연봉 정보를 검색해본다.
→ https://kreditjob.com/ → https://www.opensalary.com/ → 일단 블럭 처리가 되었는지 확인하고 (의심 +1)
→ 퇴사자 수가 전체 인원 대비 많으면50% 이상 (의심 +1)
→ 평균연봉이 너무 낮아도(2천이하도 있음), 전체인원이 너무 적어도 조심하자 (의심 +0.5)
→ 우측에 [JOB담] 이라는 코너에 악평이 많아도 조심하자 (의심 +0.3)
4. 사업자 등록번호를 검색해본다
→ https://www.ftc.go.kr/www/bizCommList.do?key=232 → https://bizno.net/ → http://dart.fss.or.kr/ → 사업자등록번호가 검색이 되지 않는다. (의심 +0.5)
→ 설립년도와 사업자등록년도의 차이가 꽤 많이 난다. (의심 +1)
→ 설립한지 꽤 오래 되었는데(3년 이상) 출시작도 없고 관련 기사도 없다. (의심 +1)
→ 실제 대표자명과 사업자등록 상의 대표자명이 다르다. (의심 +0.5)
5. 게임잡에서 회사 정보를 확인해본다.
→ 회사 연락처(번호)가 개인 핸드폰 번호이다. (의심 +0.3)
→ 회사 이메일주소가 회사 도메인이 아니고 개인 메일주소이다. (의심 +0.3)
(특히 네이버, 다음, 한메일, 네이트 메일 등등)
→ 회사 홈페이지가 없다. (의심 +0.3)
→ 해당 회사명으로 구글에서 검색되는 (회사 정보가 아닌)기사가 없다. (의심 +0.3)
총 10.0점 만점이니까
위 내용 확인해보고 6점 이상이면 신중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물론 정답도 아니고 나보다 노하우도 더 많은 많은 분들이 계시겠지만
일단 내가 지금 볼 일이 있어서 나가봐야 하니 빠르게 마무리 해봅니다.
혹 문제될만한 내용 있어서 지적해주시면
다녀와서 수정해놓겠습니다.
그럼 후배님들 특히 신입분들 초우량 기업은 못가더라도
입사한 첫달부터 월급 못받고 하는 일은 안생기길 바라며
이만 줄입니다.
수고하십셔 ~
=====================
p.s 수정의견 반영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