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통합검색 입력 폼
잡코리아 주요 서비스
끝이 다른 시작 JOBKOREA 알바의 상식 albamon


게임뉴스 상세

엔씨, AI 기술 고도화에 속도내나?

작성자
관련사이트 더게임스
작성일
2023-06-07

엔씨소프트가 인공지능(AI) 시대의 새로운 화두를 탐구하는 모습을 보임에 따라 이 회사의 기술 고도화에 대한 노력 역시 주목을 받고 있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엔씨소프트(대표 김택진)는 최근 생성형 AI에 대한 영상 시리즈의 첫 에피소드 'Be [Creative] Human - 창의에 도전하는 AI'를 공개했다.

이번 공개된 영상에는 토드 마코버 MIT 미디어랩 교수가 참여해 생성형 AI 기술의 발전과 이에 따른 인긴의 창의성에 대한 변화 등을 진단하고 전망했다.

이 회사는 콘텐츠 시리즈 'Be Human'을 통해 생성형 AI와의공존 시대에 인간의 역할을 탐구한다는 계획이다. 유례없는 문명의 대전환을 맞이한 가운데 AI를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겠다는 의도다.

첫 에피소드로 등장한 토드 마코버 교수는 생성형 AI가 과거에 없던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어 낸다는 점에서 창의성을 지녔다고 봤다. 그는 진정한 창의성에 대해 "세상의 아름다움을 발굴하고 이를 다른 사람들도 느낄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찾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생성형 AI는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작동한다는 점에서 이미 존재하는 것의 변형에 지나지 않는다는 게 그의 진단이다. 때문에 인간과 생성형 AI가 협업하는 파트너십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최우선 과제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생성형 AI가 결과물을 만들되, 그 과정 전반에서 인간과 소통하며 퀄리티를 높이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주고받는 시스템을 제시했다.또 한동안 생성형 AI로 만든 결과물이 똑같아 보이는 과도기를 거치게 되지만 결국 진정으로 중요한 소통, 창", 공유를 가능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업계는 엔씨소프트가 이 같은 AI 기술 개발에 더욱 역량을 집중하며 속도를 낼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 일각에선 초거대 AI 언어모델(LLM) 고도화를 본격화하며 챗GPT와 같은 언어모델 개발에 매진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회사는 IP 개발, 게임 제작 역량 강화, 미래 신기술 확보 등 기술 혁신에 R&D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최근 3년(2020년~2022년) 동안 투자한 연구개발비는 1" 2834억 원에 달한다.

전체 직원 4789명 중 71%인 3394명이 연구개발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2011년부터는 인공지능(AI)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하며, 현재 AI 센터와 NLP(자연어처리) 센터에서 300여명 규모의 전문 인력이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다.

이 가운데 이 회사는 지난달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AI 개발에 대해 언급하기도 했다. 올 하반기 자체 AI 플랫폼을 사내 오픈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AI 기술을 실제 게임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콘텐츠 몰입감과 질적인 도약을 이끌어 미래 성장 기회를 발굴하겠다는 의도다.

이 회사는 일찌감치 AI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이어왔다. 과거 '블레이드&소울' e스포츠 대회에서 AI와 프로게이머의 대결을 선보이며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후 AI 기술 발전과 더불어 고도화된 언어모델은 이 회사가 준비 중인 '디지털 휴먼'에 접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난 3월 글로벌 개발자 컨퍼런스(GDC)에서 영상을 공개한 '프로젝트M'에서 이 같은 시도를 엿볼 수 있다는 평이다.

'프로젝트M'은 인터랙션 기반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언리얼 엔진5의 신기술을 적용하는 등 비주얼 R&D를 집약한다는 계획이다. 이 가운데 디지털 휴먼의 보이스, 페이셜 애니메이션 등 AI 기술을 게임 개발에 활용하고 있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때문에 이번 생성형 AI에 대한 시리즈 영상을 공개한 것도 이 같은 행보와 무관하지 않다는 평이다. 업계는 챗 GPT를 통해 불어 닥친 AI 언어모델에 대한 관심이 고"되는 가운데 엔씨소프트 역시 챌린저 중 하나로서 주목을 받게 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더게임스데일리 이주환 기자 ejohn@tgdaily.co.kr]



배너



퀵메뉴